>>>앞의 글에서 이어집니다
https://winterlight.tistory.com/48
******다음의 포스팅의 내용 중에서, 파란색 글씨로 된 내용을 제외한 검은색 글씨로 된 텍스트는 <언어 풀어쓴 언어학개론> (강범모, 한국문화사) 에서 가져온 부분임을 밝힙니다.(그대로 가져온 부분도 있지만 대부분은 본인의 스타일로 정리함)******
파란색으로 된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 또는 스스로 알고 있는 것을 정리한 내용임
제13장 언어와 컴퓨터, 전산언어학
5. 하이퍼텍스트
언어와 컴퓨터, 혹은 인문학과 컴퓨터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하이퍼텍스트(hypertext)가 있다. 인문학적 연구의 많은 부분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할 때, 전통적인 텍스트의 개념과는 사뭇 다른 하이퍼텍스트의 등장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오늘날 이전까지 접해왔던 문자로 이루어진 텍스트만이 아니라 하이퍼텍스트도 접하게 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하이퍼텍스트로 윈도우 응용프로그램들의 도움말을 생각할 수 있다. 주제 목록 중에서 원하는 주제를 클릭하면 내용이 제시되고, 그것을 읽다가 텍스트 내의 어떤 용어에 대하여 더 알기를 원하면 그것을 클릭하여 새로운 텍스트로 옮겨 간다. 즉, 하이퍼텍스트는 텍스트 내에, 다른 텍스트 혹은 같은 텍스트의 다른 부분으로의 링크가 있는 텍스트이다.
일상 속의 하이퍼텍스트가 생긴 것은 기나긴 문자와 텍스트의 역사에 비추어 보면 극히 최근의 일이다.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조차 1960년대에 와서야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 용어를 만든 테드 넬슨(Ted Nelson)은 하이퍼텍스트를 "비연속적 글, 즉 독자가 다른 독서의 길을 선택할 수 있게 해 주는, 가지를 쳐 나가는 텍스트"라고 정의하였다.
하이퍼텍스트라는 말과 유사한 용어로 '하이퍼미디어(hypermedia)라는 말이 쓰이기도 한다. 한마디로 하자면, 하이퍼미디어는 멀티미디어와 결합한 하이퍼텍스트이다. 즉, 하이퍼텍스트가 텍스트뿐 아니라 그래픽과 음향 등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하여, 그것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한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의 컴퓨터 환경에서는 별로 신기하거나 특별한 것이 아니고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하이퍼텍스트는 하이퍼미디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전통적인 텍스트와 비교하여 보는 것이다. 우선 텍스트는 연속적인(sequential) 반면에 하이퍼텍스트는 비연속적이다. 텍스트는 전형적으로 종이 위에 실현되지만, 하이퍼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우리는 텍스트를 '읽는다'라고 하지만, 하이퍼텍스트에 대해서는 그 말이 좀 어색하다. 영어로는 'browse' 또는 'navigate'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데 그것을 번역하여 '훑어보다' 혹은 '항해하다'라는 말을 쓰는 것은 더 어색하다. 우리말로는 '보다'라는 말이 적당할 것이다. 텍스트에는 '목차'(table of contents)가 달려 있지만, 하이퍼텍스트에는 '지도'(map)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텍스트는 문자(언어)와 이미지(그림, 사진)로 이루어지지만, 하이퍼텍스트(하이퍼미디어)는 문자, 이미지, 음향,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에 대해서는 읽는다라는 말보다는 browse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컴퓨터를 하다보면 브라우저라는 말이 자주 보였다. 브라우저라는 뜻을 딱히 깊게 생각하지 않고 당연하게 받아들였었는데, 다 이유가 있는 말이었다니 신기하다.
전통적인 텍스트가 유용한 점이 아직도 많이 있다. 텍스트는 문서나 책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사용하기 편하고 가지고 다니기도 편하다. 심지어 화장실이나 침대의 이불 속에서도 책을 읽는 것은 불편하지 않다. 이와 대조적으로 하이퍼텍스트는 값비싼 컴퓨터 시스템, 특히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갖추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에는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있다. 이것들을 통하여 텍스트의 어떤 부분에서 같은 텍스트의 다른 부분 혹은 다른 텍스트 혹은 영상, 음향으로 옮겨갈 수 있다. 이러한 하이퍼텍스트의 전형적인 형태가 컴퓨터에 구현된 하이퍼미디어이기는 하지만, 노드와 링크로 구현되는 비연속적 특성을 가진 하이퍼텍스트의 원형이 컴퓨터의 등장 이전에도 존재하기는 했다. 우선, 책들을 가득 보관하고 있는 도서관을 하나의 하이퍼텍스트로 볼 수 있다. 어떤 책(텍스트)의 각주와 참고문헌 부분에는 다른 책이 언급되어 있고 이것을 하나의 링크로 생각할 수 있다. 그 링크를 따라가는 일은 사람이 직접 도서관의 다른 책을 찾아가는 일이다. 백과사전 같은 참고 서적의 항목의 설명에는 다른 항목을 참조하라는 것이 있다. 이것도 하나의 링크이며 따라서 백과사전 전체가 하이퍼텍스트를 구성한다. 관주 성경도 하나의 하이퍼텍스트이다. 성경 구절의 어떤 부분이 성경의 다른 부분과 상호 관련성이 있음이 관주로 표시되어 있다. 컴퓨터나 휴대폰을 하다보면 링크를 아주 쉽게 접할 수 있는데, 링크에 대해서 어렵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그게 다 하이퍼텍스트였다는 것이 참 놀랍다. 친구한테 이 옷 어떠냐고 한번 봐보라고 할 때 자주 링크를 복사 붙여넣기 해서 보냈었는데, 하이퍼텍스트를 내가 일상 속에서 다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6.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인터넷 개요
오늘날 초고속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하는 것은 유치원생들에게도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주고받는 문서는 대부분 하이퍼텍스트이며 따라서 인터넷은 하이퍼텍스트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인터넷의 역사는 1960년대의 미국의 정부 통신망인 ARPANet에서 시작하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많은 대학과 연구소들이 이 연결망에 접속하게 되면서 이것이 인터넷이란 이름을 얻었고 곧 전 세계의 대학과 연구소들의 컴퓨터들이 광범위하게 연결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WWW 규약의 채택으로 인하여 인터넷은 일반인들도 쉽게 접속할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한 통신망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면, 좀 더 구체적으로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이란 말은 프로토콜(protocol) 즉 통신 규약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통신 규약이란 두 개의 기계(컴퓨터)가 자료를 주고받을 때의 약속을 말한다. 이것은 기계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약속과 함꼐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약속을 포함한다. 즉, 약속된 형식의 자료를 약속된 방법으로 주고받게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계(컴퓨터)의 특성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언어가 다른 두 국가간에 직접 의사소통을 할 수 없지만, 약속된 의전(프로토콜)을 통하여 서로 이해할 수 있는 행사를 치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에서 채택하는 것은 IP(Internet Protocol)와 라우터(router)의 방법이다.
IP가 기계에 명령하는 규칙들
1)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
2)다른 기계와 연결을 하는 방법
3)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4) 연결을 끊는 방법
IP는 모든 데이터를 '패킷(packet)으로 나누어 보내도록 정한다. 패킷이란 32비트의 주소 정보에 싸여 있는 데이터의 한 덩어리를 말한다. 32비트의 주소는 데이터를 전달할 컴퓨터의 고유한 번호를 말하는데, 8비트씩 끊어서 점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IP주소는 기억하기가 어려우므로 사람들이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나의 IP주소에 고유한 이름을 배정한 것이 도메인네임(domain name)이다. 하나의 IP주소에 두 개 이상의 도메인네임이 부여될 수도 있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도메인네임 자체는 인터넷 안에서 유일하여야 한다. 이러한 도메인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DNS(domain name server)라고 한다.
'공부 > 언어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학개론>제14장 언어와 생활, 응용언어학-1.응용언어학의 분야& 2. 언어 교육 (0) | 2020.04.21 |
---|---|
<언어학개론>제13장 언어와 컴퓨터, 전산언어학-4. 코퍼스언어학 (0) | 2020.04.20 |
<언어학개론>제13장 언어와 컴퓨터, 전산언어학-3. 응용 시스템 (0) | 2020.04.20 |
<언어학개론>제13장 언어와 컴퓨터, 전산언어학-2. 자연언어처리 (0) | 2020.04.20 |
<언어학개론>제12장. 언어와 문학, 텍스트 장르와 문체-4.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제13장. 언어와 컴퓨터, 전산언어학-1. 전산언어학이란? (0) | 2020.04.20 |